ad-ama 님의 블로그

ad-ama 님의 블로그 입니다.

  • 2025. 3. 18.

    by. ad-ama

    목차

      경제학

      1. 행정학개론이란?

      행정학은 정부와 공공기관이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하며,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현대 사회에서 행정은 단순한 법 집행을 넘어 정책 결정, 서비스 제공, 공공 관리, 행정 개혁 등의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글에서는 행정학의 개념과 역사, 주요 이론, 공공행정의 원칙과 기능, 그리고 현대 행정의 도전 과제 등을 다루며 행정학의 중요성을 조명하고자 한다.

      2. 행정학의 개념과 발전 과정

      1) 행정학의 정의

      행정학(Public Administration)은 정부 및 공공기관의 운영 방식과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공공 문제 해결과 효율적인 정부 운영을 목표로 한다.

      2) 행정과 경영의 차이점

      행정과 경영은 조직 운영이라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공익성과 민주적 책임성의 차이가 있다.

      구분 공공행정 기업경영
      목표 공익증진 이윤 추구
      책임성 민주적 통제 주주 및 시장의 통제
      의사결정 법과 정책에 근거  시장 논리에 근거
      자금조달 조세 및 공공 재원 투자 및 매출

      3) 행정학의 역사적 발전

      행정학은 다음과 같은 주요 단계로 발전해왔다.

      1. 전통적 행정이론(1880~1920년대)
        • 막스 베버(Max Weber)의 관료제 이론: 법적-합리적 권위를 바탕으로 한 조직 운영 강조.
        •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의 정치-행정 이원론: 행정은 정치와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
      2. 행정관리학(1920~1950년대)
        • 프레드릭 테일러(Frederick Taylor)의 과학적 관리법: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 강조.
        • 귤릭(Luther Gulick)의 POSDCoRB: 기획, 조직, 인사, 지휘, 조정, 보고, 예산 등의 행정 기능 정리.
      3. 행태주의 행정학(1950~1970년대)
        • 사이먼(Herbert Simon)의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인간의 의사결정이 완전한 합리성을 갖지 못한다고 주장.
        • 드로어(Yehezkel Dror)의 정책과학: 정책결정 과정의 체계적 접근 강조.
      4. 신공공관리론(NPM, 1980년대 이후)
        • 시장 중심의 행정 개혁을 주장하며 정부의 역할 축소와 민간 부문의 도입 강조.
        • 성과관리(Performance Management)와 고객 중심 행정 도입.

      3. 공공행정의 주요 원칙과 기능

      1) 공공행정의 기본 원칙

      • 합법성(Legality): 모든 행정활동은 법적 근거를 가져야 한다.
      • 공익성(Public Interest): 공공 행정은 국민 전체의 이익을 우선시해야 한다.
      • 효율성(Efficiency): 공공 자원의 사용을 최적화해야 한다.
      • 책임성(Accountability): 정부는 정책 집행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 형평성(Equity): 행정 서비스는 공정하고 차별 없이 제공되어야 한다.

      2) 행정의 주요 기능

      1. 정책 기획 및 결정
        • 정책 수립과정(Agenda Setting → Policy Formulation → Decision Making)
        • 정부의 역할: 규제 정책, 경제 정책, 복지 정책 등.
      2. 공공 서비스 제공
        • 교육, 보건, 교통, 치안 등 국민의 삶과 직결되는 서비스 운영.
        •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
      3. 조직 관리 및 인적자원 관리
        • 관료제 운영 및 공무원 제도 개선.
        • 인사 행정(HRM)과 성과 평가 도입.
      4. 재정 관리 및 예산 편성
        • 국가 예산 수립 및 집행.
        • 조세 정책과 재정 지출 관리.
      5. 공공 부문 개혁 및 거버넌스
        • 정부 개혁과 전자정부 도입.
        • 민관 협력(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확대.

      4. 현대 행정학의 주요 이론

      1) 관료제 이론(Bureaucracy Theory)

      막스 베버(Max Weber)는 관료제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계층 구조(Hierarchy)
      • 공식적 규칙과 절차(Formal Rules)
      • 전문성과 분업(Specialization)
      • 무사적 운영(Impersonality)

      그러나 현대에서는 관료제의 비효율성(Red Tape), 융통성 부족 등의 문제도 제기된다.

      2) 신공공관리론(NPM, New Public Management)

      1980년대 이후 등장한 이론으로, 정부 운영에 시장 원리를 도입하는 것을 강조한다.

      • 성과 중심 행정(Performance-Based Management)
      • 민영화(Privatization)
      • 고객 지향 행정(Customer-Oriented Administration)

      3) 뉴거버넌스(New Governance)

      정부와 민간, 시민사회가 협력하여 정책을 운영하는 방식.

      • 정부-기업-시민사회 간 협력 강화
      • 전자정부(e-Government) 및 디지털 행정 도입

      5. 현대 행정의 도전 과제

      1) 행정 투명성과 부패 문제

      • 공공기관의 부패 방지를 위한 감사 및 내부 통제 강화.
      • 공공정보 공개(Open Government) 및 참여 민주주의 확대.

      2) 전자정부와 디지털 행정

      • 정보기술(IT)을 활용한 공공 서비스 제공.
      • 빅데이터(Big Data) 및 인공지능(AI) 기반 정책 분석.

      3) 복지 행정과 사회적 형평성

      • 복지 정책 확대와 재정 건전성 유지 간 균형 필요.
      • 저출산·고령화 대응을 위한 정책 개선.

      4) 기후 변화 및 환경 행정

      • 지속 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정책 추진.
      • 탄소 배출 감축 및 친환경 행정 강화.

      6. 결론

      행정학은 공공 문제를 해결하고 정부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현대 행정학은 전통적 관료제에서 신공공관리론, 뉴거버넌스 이론으로 발전하며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미래의 공공행정은 디지털 혁신, 행정 투명성 강화, 지속 가능한 정책을 중심으로 변화할 것이다. 행정학 연구는 효율성과 형평성, 민주주의 원칙을 조화시키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하며, 이를 통해 국민의 신뢰를 얻고 보다 나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